No. 01 |
|
| |
데이터 타입(data type) |
데이터 타입(자료형)이란 자바에서 다룰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말한다. 자료형은 크게 '기본형'과 '참조형'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기본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고 참조형은 주소를 저장한다. 여기서 주소란 메모리 주소를 뜻한다.
▣ 기본형(primitive type)
논리형(boolean), 문자형(char), 정수형(byte,short,int,long), 실수형(float,double)
▣ 참조형(reference type)
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
실제 값이 아닌 메모리 주소가 저장된다는 것이 중요하다.
No. 02 |
|
| |
기본형(primitive type) |
기본형은 모두 8개의 종류가 있으며, 크게 논리형,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으로 구분된다.
자료형 |
키워드 |
크기 |
기본값 |
표현 범위 |
논리형 |
boolean |
1byte |
false |
true 또는 false |
문자형 |
char |
2byte |
\u0000 |
0 ~ 65,535 |
정수형 |
byte |
1byte |
0 |
-128 ~ 127 |
short |
2byte |
0 |
-32,768 ~ 32,767 |
|
int |
4byte |
0 |
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|
|
long |
8byte |
0 |
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 |
|
실수형 |
float |
4byte |
0.0 |
-3.4E38 ~ 3.4E38 (소수 7자리 까지 표현) |
double |
8byte |
0.0 |
-1.7E308 ~ 1.7E308 (소수 15자리 까지 표현) |
▣ 논리형
boolean은 true와 false 두 가지 값만 표현할 수 있다. 즉, 참 또는 거짓만 표현 가능하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.
주의할 것은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false만 값으로 가질수 있다. 예를 들어 TRUE 또는 False 등은 다른것으로 간주된다.
boolean a = TRUE; //[x], 에러가 난다.
boolean b = true; //[o]
▣ 문자형
char는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.
문자를 저장할 때는 작은따옴표(')로 반드시 문자를 감싸줘야 한다. 문자를 감싸지 않으면 변수명으로 인식한다.
char a = c //[x], 에러가 난다. c라는 변수로 인식하는데 c라는 변수를 선언하지 않았다.
char b = 'c'; //[o], 작은 따옴표로 감싸주어야 한다.
// 변수 b를 알파벳 소문자 c로 초기화 한 것이다.
char b = 'ac'; //[x], 에러가 난다. 두개의 문자는 저장이 안된다.
▣ 정수형
byte,short,int,long 4가지 타입으로 표현되며, 사용하고자 하는 값의 범위에 따라 적절한 타입을 선택하면 된다.
같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크기가 다른 그릇 4개라고 생각하면 쉽다. 일반적으로 정수를 저장할 때는 int를 많이 사용한다.
▣ 실수형
float,double 2가지 타입으로 표현되며, 마찬가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값의 범위에 따라 적절한 타입을 선택하면 된다.
일반적으로 실수를 저장할 때는 double를 많이 사용한다.
※ 변수를 초기화 하거나 값을 대입할 때 선언한 변수 타입에 맞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.
No. 03 |
|
| |
정수와 실수형의 표현 |
정수형과 실수형은 여러 타입이 존재하므로 타입을 구분해주기 위해서 값에 접미사를 붙여 주어야 한다.
▣ 정수형의 표현
byte,short,int형 일때는 범위에 맞는 값만 저장하면 문제되지 않으며 long형 일 때만 접미사 'l'또는 'L'을 붙여준다.
예를 들어 int형의 최대값인 2,147,483,647보다 큰 값을 long형에 저장할 때는 접미사 'l'또는 'L'을 반드시 붙여줘야 한다.
중요) 자바에서 접미사를 붙이지 않은 정수값은 int형으로 간주한다.
int i = 2,147,486,648; //[x], 이경우는 값의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long l = 2,147,486,648; //[x], 이경우는 접미사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▣ 실수형의 표현
실수형의 경우는 float형 일 때 접미사 'f' 또는 'F'을 붙여준다.
중요) 자바에서 접미사를 붙이지 않은 실수값은 double형으로 간주한다.
float f = 4.5; //[x], 이경우는 접미사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//실수 4.5를 double형으로 간주하여 float형에 저장 못한다.
float c =4.5f; //[o], 이와 같이 접미사 'f또는 'F'을 붙여줘야 한다.
No. 04 |
|
| |
상수(constant) |
상수(constant)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바뀔 수 없다.
상수를 선언할 때는 반드시 값을 초기화하여야 한다. 한 번 초기화된 다음에 상수 값은 변경할 수 없다.
상수를 만드는 방법은 변수 선언 시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 키워드를 붙여주면 된다.
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암묵적인 약속이며,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'_'로 구분한다.
값이 항상 일정해야 하는 경우 상수로 선언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.
final double PI; //[x],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여야 한다.
final double PI = 3.141592; //[o]
PI = 5.141592; //[x], 상수의 값은 변경될 수 없다.
위와 같이 원주율을 나타내는 π 값은 항상 일정해야 원의 면적등을 구할 때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있다.
개발자는 PI라는 상수이름으로 3.141592라는 값을 저장하였고 앞으로 원의 면적등을 구할 때 3.141592라는 값 대신 PI라는 상수 이름으로 대신할 수 있다. 더 알아보기 쉽고 값을 외우지않고 PI라는 것만 알면되기 때문에 프로그램하기 매우 용이하다.
또한 프로그램 중간에 값을 바꾸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역할도 있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 08] 문자열 - String (1) | 2017.11.18 |
---|---|
[Java 07] 문자형 - char (0) | 2017.11.18 |
[Java 05] 변수와 식별자 (1) | 2017.11.13 |
[Java 04] 자바 프로그램의 구조 (1) | 2017.11.12 |
[Java 03] 이클립스(eclipse) 기본 사용법 (0) | 2017.11.12 |